반응형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은 이야기 작성, 그림 그리기, 음악 만들기 등 새로운 것을 창작할 수 있는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예시를 학습하여 패턴을 인식하고 이를 기반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낸다.
찬반표 정리
학교에서 생성형 AI를 금지해야 한다반대 측: 학교에서 생성형 AI를 금지해서는 안 된다
찬성측 | 반대측 | |
교육 평가의 무결성 | 현재 금지되지 않으면 학생들은 생성형 AI를 사용해 자신의 이해와 능력을 반영하지 않은 과제를 제출할 수 있음. 금지되면 평가가 학생의 실제 이해와 능력을 정확히 반영함. | 생성형 AI는 학생들에게 새로운 도구를 제공하여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과제 제출이 가능하게 함. 이는 학생들이 더 나은 문제 해결 능력과 창의적 사고를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함. |
창의력과 비판적 사고 | 생성형 AI를 금지하면 학생들은 AI 의존 대신 독립적으로 사고하고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함. 이는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능력을 함양시킴. | 생성형 AI는 학생들에게 창의적 콘텐츠(예: 예술, 글쓰기, 음악 등)를 제작할 기회를 제공하며, 다양한 스타일과 접근 방식을 실험하게 해줌. |
교육 형평성 | 생성형 AI에 대한 접근성이 높은 학생들이 더 유리하며, 금지가 없다면 교육적 불평등이 심화될 수 있음. 금지를 통해 모든 학생들에게 동등한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음. | 생성형 AI는 개인 맞춤형 학습을 가능하게 하여 학습 속도와 스타일에 맞는 교육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교육의 포괄성과 형평성을 증진시킴. |
미래 준비성 | 학생들이 AI에 의존하지 않고 기본 학습과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면, 기술에 의존하지 않아도 되는 독립적이고 유능한 인재로 성장할 수 있음. | 생성형 AI는 학생들에게 첨단 기술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며, 미래 직업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을 익히도록 도와줌. 기술 중심 경제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음. |
반응형
'토론 주제와 주장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본 회의는 모든 빅테크 기업이 전 세계적으로 표현의 자유를 규제하는 문제와 관련된 우려로 인해 민사 소송에서 무조건적인 면책 특권을 부여받아야 한다고 믿는다 (4) | 2024.12.05 |
---|---|
본 회의는 모든 재산 상속을 폐지하고 이를 빈곤층에게 재분배할 것을 제안한다. (0) | 2024.12.05 |
본 의회는 고등교육에서 대학 순위(예: QS 및 THE 대학 순위)에 중점을 두는 것을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1) | 2024.11.28 |
본 의회는 언스쿨링 운동을 지지한다. (1) | 2024.11.28 |
본 회의는 실제 사건을 다룬 범죄 미디어(true crime)가 이익보다 더 많은 해를 끼친다고 믿는다. (3) | 2024.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