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립식 토론 규칙

각 연사의 역할 - 찬성 측 첫 번째 연사

by 웰띵커 2019. 5. 13.
반응형

이번 포스팅에서는 찬성 측의 첫 번째 연사의 역할만 살펴볼 거예요.

저는 개인적으로 첫 번째 연사들이 전략적이고 구체적인 케이스를 제시하면서 강하게 시작하는 것이 전체 토론 경기의 판을 좌지우지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고 생각해요. *물론 각 연사들마다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고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소화해주어야 합니다.

그럼 찬성 측 첫 번째 연사의 역할을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에 앞서, 전체적인 연사들의 역할을 표를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저의) 편의를 위해서 각 연사의 역할은 영어로 요약해 두었어요. 구체적으로 설명을 할 때에는 한국말로 더 자세히 기록할 예정입니다.

양 측 모든 연사의 역할

찬성 측 첫 번째 연사 역할

찬성 측 첫 번째 연사: Prime Minister

1. Identify Problem in the Status Quo (Provide a context)

찬성 측 첫 번째 연사는 전체 토론의 첫 번째 연사로 토론하게 될 주제에 대한 간략한 배경/ 상황/ 맥락에 대한 설명을 해야 합니다. 토론 경기의 전제가 "일반적 상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을 설득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일반인들에 모든 사회적 이슈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고 주제를 소개하는 것이 더 좋겠죠? 특히 찬성 측이 현재 상황에 문제를 제기하고 모션을 제안하는 입장이기 때문에, 찬성 측에서 지금 어떤 현상/ 논란/ 문제를 심각하게 느끼고 있으며 어떻게 이 모션을 통해서 해결할 수 있을지를 전반적으로 증명해야 할 의무를 가지고 있어요.

2. Define Key Terms

토론에 사용하게 될 표현, 또는 모션에 나온 주제에 대한 용어 정리입니다. 이 부분은 두어 가지 이유로 상황에 따라 필요할 것 같아요.

1) 모션에 나온 단어 자체가 너무 생소하거나, 사전적 의미와 다르게 특정한 뜻을 가진 경우.

예를 들어, "셧다운제 (Shut-down Policy)"라고 불리는 이 정책은, 박근혜 전 대통령 때 통과되었던 정책으로 미성년자로 등록된 게임 아이디들이 밤에 게임을 더 이상 접속할 수 없게 한 법안이에요. 우리나라에선 비교적 덜 생소할 수 있지만, 이 표현 자체가 특정 정책을 표현하는 경우, 이러한 정책이 있다는 것을 미리 말해줌으로써, Shut-down이라는 단어가 가져올 수 있는 혼란을 미리 방지하는 것이 좋겠죠?

2) 모션에 나온 단어가 의미하는 범위가 넓어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경우, 기준을 성립하는 것이 좋음.

예를 들어, 본 의회는 "폭력적인" 게임을 금지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폭력적"이라는 표현이 비교적 주관적인 기준을 가지고 있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어떤 이들은 배틀그라운드와 같은 게임을 연상했는데 다른 이들이 동물 사격 게임을 생각하고 토론에 임한다면 서로 다른 특징을 가진 게임에 대해서 주장하게 되겠죠? 이 또한 경기에 엄청난 혼란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미리 정의를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를테면, "이 토론에서 본 의회는 "폭력적인" 게임을, 게이머들이 사람 캐릭터를 사용하며, 총, 칼, 폭탄과 같은 무기를 가지고 다른 사람 캐릭터를 죽이는 것과 같이 사람 캐릭터 간의 살인으로 점수를 얻는 게임으로 정의합니다."라고 말하면 반대 측과 심사위원이 이 토론에서 어떤 게임들에 대해서 다루게 될지 범위를 잘 파악할 수 있겠죠?

3) 모션에 나온 단어가 다양한 용도에 사용되는 경우.

예를 들어, 본 의회는 안락사를 허용한다. -> 현재 우리나라는 "동물에 대한 안락사"는 허용을 한 상태이지만, "인간에 대한 안락사"는 불법입니다. (물론 과거에 예외적인 안락사가 시행된 적이 있습니다!) 이런 경우 반대 측이 "이미 우리나라는 동물에 대한 안락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라는 혼란을 가져오지 않도록, 또는 "멀쩡한 사람을 안락사시키는 것은 엄연한 살인입니다~"라는 주장에 대해 이기기 어려운 부담을 짊어지지 않도록 찬성 측은 이 토론에서 "안락사"가 어떤 종류이며 누구에게 해당되는 이야기인지 정의를 내려주면 좋겠죠? 이를테면, "이 토론에서 논의될 안락사는 병원에서 6개월 정도의 시한부를 판정받은 환자 중에 스스로 희망하는 경우에 대한 토론입니다"라고 토론에서 사용될 용어의 의미를 미리 정리해주면 좋습니다.

3. Introduce a policy, if necessary

찬성 측은 모션을 통해서 새로운 정책을 제안한다면, 어떤 식으로 이 정책에 사회에 반영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해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본 의회는 담배를 금지한다. -> 어떤 방법으로 담배를 금지하게 될지 다양한 방법론들이 있겠죠? 이를테면, 담배 생산자를 처벌하거나, 담배를 피우는 사람들을 처벌하거나, 매해 담배를 필 수 있는 나이 제한을 꾸준히 올려서 현재 미성년자들이 꾸준히 담배를 구입할 수 없게 할 수도 있을 거예요, 찬성 측은 본인들이 제시한 정책이 왜 가장 효과적이며 좋은 방안인지를 증명해야 합니다.

4. Provide a Team Stance

각 팀은 토론에 참여하기에 앞서 각 팀이 이 토론에서 찬성 혹은 반대를 함으로써 이루고자 하는 목표/ 입장을 세워야 합니다. 아무도 이유 없이 어떤 논란에 대해 찬성하고 반대하지는 않겠죠? 이를테면, 담배를 반대하는 찬성 측은 사회구성원들의 건강을 위해서, 반대 측은 사회 구성원들의 선택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서 지지하거나 반대를 할 이유가 생길 거예요.

5. Team Split

팀 스플릿은 쉽게 말하면 팀이 준비한 세 가지 주장을 미리 설명해주는 것입니다. -> 책을 사서 읽을 때도 앞에 목차/차례를 봐야 이 책이 어떤 내용들을 담고 있는지 미리 파악하고 책의 내용 전개와 같은 큰 그림을 먼저 이해할 수 있는 것처럼, 토론에서도 심사위원들에게 미리 본인의 팀의 주장이 어떤 식으로 전개가 될 것인지 미리 알려주는 것은 좋은 전략입니다. 이렇게 했을 경우, 심사위원들이 연사의 연설을 훨씬 더 쉽게 따라오고 집중해서 들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논리적 흐름의 발전 등을 눈여겨볼 수 있어요. *그래서 저는 제가 가르치는 학생들에게 스피치를 끊어서라도 꼭! 팀스플릿을 시키는 편입니다.

6. Deliver 2 arguments to support the team case

찬성 측의 팀 입장과 열띤 토론을 위한 세팅을 잘 했다면 이제는 가장 강력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 2가지를 설명해야 합니다. 주장을 설명할 때에는 특히나 논리 정연하게 정리된 스피치가 훨씬 설득력이 있겠죠? 이 부분은 설득력 있는 주장을 전달하는 스피치 형식에서 조금 더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

그러나 그 전에 알아두면 좋은 꿀팁!

* 첫 번째 주장은 전체 케이스의 밑거름이 될 만한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가치/ 원칙/ 규칙 등을 파악하고 준비한다.

-> 저는 개인적으로 각 주제가 가지고 있는 가치나 원칙 (Principle)을 굉장히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1) 보편적인 가치관이나 원칙은 우리가 살아가는 모든 시스템의 기반을 세우고 있기 때문에. 2) 아시아식 영어토론이 팩트나 숫자보다 논리와 근거에 설득력을 기반하는 경기이기 때문에. 2) 숫자나 팩트는 언제든지 쉽게 바뀔 수 있고, 새로운 예시로 뒤집을 수 있기 때문에. 4) 인간은 돈이나 숫자와 같은 팩트로만 구성된 사회에서 살지 않고, 어떠한 가치와 원칙을 추구하며 살아가기 때문에. 이 정도가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특별히 토론을 배우러 오는 아이들에게 가장 의미 있는 수업이 되려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사회를 아우르고 개인들이 추구하는 가치와 원칙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고 잘잘못을, 효용성을, 중요성을 따져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이 저의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다음 번 포스팅에서는 반대 측의 첫 번째 연사, Leader of Opposition의 역할에 대해서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위의 표에 보이는 것처럼, 각 팀의 첫 번째 연사들의 역할은 조금 더 세분화해서 설명을 하고 뒤에 나오는 연사의 역할들은 함께 설명할 예정이에요.

그럼 다음 포스팅까지, 오늘도 내일도 행복하세요: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