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대립식 토론 규칙

반박의 기술 12가지 - 1탄

by 웰띵커 2019. 5. 26.
반응형


최근에 "권노말"님께서 댓글로 논리적으로 반박하는 기술에 대해서도 글을 올려달라고 하셨는데, 이 주제가 저의 블로그 라이브러리에.. 한 2달 정도 제목만 쓰인 채.. ㅋㅋ 잠들어있었어요. 이 글을 빨리 쓸 수 있게끔 댓글로 동기 부여를 해주신 권노말님께 심심한 감사를 전합니다.

토론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를 더 많은 분들과 나누고 싶은데, 이 주제는 글을 시작만 하면 괴에에에에엥장히 길어지더라고요?

제가 앞서 설명드렸던 대립식 의회 토론의 궁극적인 목적은 전체 토론을 듣고 있는 심사위원을 설득하는 것입니다.

아무래도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나와 다른 의견을 주장하고 있는 상대팀보다 상대적으로 더 우세한 논리를 가지고 나와야겠죠? 토론에서 이기는 가장 중요한 것은 아무래도 더 강하고 설득력 있는 주장을 가지고 나오는 것이겠지만, 그만큼 동일하게 중요한 것은 상대방이 가져온 주장의 논리를 약화시키거나 설득력을 떨어트리는 것입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반박의 기술 12가지 중에 1탄으로 4가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Not True

2. Wrong in principle

3. Generalization

4. Insignificant

5. Irrelevant

6. Problem + Solution mismatch

7. Contradiction

8. Assumption

9. Cause more harm (+Slippery Slope)

10. Not mutually exclusive

11. Logically inconsistent

12. Not their role

(+ Even if)


1. Not True

이 반박은 말 그대로, 상대방이 주장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 아니다"라고 증명하는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굉장히 뻔한 반박이죠?

그렇지만 막상 토론 경기가 진행되면 굉장히 많은 경우 상대방의 주장이 "사실이 아니다"라는 disprove를 하려는 경우가 굉장히 적습니다. 아무래도 즉흥적으로 상대방의 내용을 반박해야 하다 보니 대부분은 "그렇지만~~"이라는 자세로 반박을 하려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것 같아요. 이런 형태의 반박은 잘 살펴보시면 '너의 전제는 맞지만~ 그래도~'라는 태도를 취하게 됩니다. 이렇게 반박을 시작하면 1차적으로는 상대방의 주장이 일리가 있다는 것을 동의하고, 그 전제를 바탕으로 토론을 진행하게 됩니다. 물론 그것이 반박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 그 주장을 받아들이고 다른 형식에 반박을 해야겠지만, 대립식 토론에서는 많은 경우 상대방이 주장한 사실조차도 "그렇지 않다"라고 반박하고, 새로운 맥락으로 끌고 갈 수 있어야 합니다.

THW allow death penalty (본 의회는 사형제도를 시행하겠다)라는 주제를 가지고 오늘 알려드릴 반박의 기술들을 한 번씩 활용해봅시다!

상대측 주장

우리 측 반박

사형제도를 시행하면 사회의 범죄율이 줄어들게 될 것입니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죽음을 두려워하기 때문에 사형 당할만한 잠재적 범죄자들이 이 처벌이 두려워 그런 만행을 저지르지 않을 것입니다.

그것은 사실이 아닙니다.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르는 경우, 1) 자신이 받게 될 처벌을 개의치 않거나, 2) 범죄를 저지르기 전부터 들키지 않는 완벽 범죄를 꾀하거나 3) 이성적인 판단이 흐려진 상태에서 만행을 저지를 수 있기 때문에 "사형제도"라는 것 자체가 이런 범행을 저지를 사람들을 제지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여차여차 추가적 반박이 나오는 부분인데 이건 다음 시간에!)

보시면 알겠지만, 반대 측에서는 지금 "사람들이 사형제도라는 두려움에 범죄를 저지르지 않을 것이다"라는 것에 대해서 부정하면서,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라고 반박하고 있습니다. (흠.. 이 예시가 딱히 마음에 들지는 않네요..)

그래도 찬성 측에 주장하는 맥락을 어느 정도 거절함으로써 반대 측은 "상대 측이 제시하는 상황이 아닌, 다른 맥락의 상황"을 토론에 가지고 나옴으로써 심사위원이 상대방이 제시한 맥락을 바탕으로 제시한 주장뿐만 아니라, 우리 측이 가지고 나온 다른 상황들을 더 고려 해볼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런 경우 말고도, 사실에 입각해서 "저것은 틀렸다"라고 반박할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대 팀이 "요즘 많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자살하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한다면 우리 측에서 "우리나라 아이들이 요즘 학업 스트레스가 많은 건 사실이지만 많은 학생들이 자살하고 있다는 것은 사실이 아닙니다"라고 반박할 수 있겠죠?


2. Wrong in Principle

제가 찬성 측 첫 번째 연사의 역할을 설명드릴 때 *첫 번째 주장은 전체 케이스의 밑거름이 될 만한 보편적으로 인정받는 가치/ 원칙/ 규칙 등을 파악하고 준비하는 게 좋다고 말씀드렸었는데요~ 그 이유는, 각 주제가 가지고 있는 가치나 원칙이 사회의 방향성과 개인의 선택에 굉장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드렸었습니다.

그만큼, 각 주장의 가치/원칙/규칙이 굉장히 중요하고, 반박을 꼭 해서 서로 쟁점 구도를 잡아야 합니다! 모든 토론에서는 각 측에서 주장하고 더 중요시 여기는 가치/원칙이 있습니다. 그래서 서로가 어떤 것이 더 중요한지 심사위원에게 설득하며 겨루어봐야겠죠?

상대측 주장

우리 측 반박

사형제도는 극악무도한 범죄자를 죽음으로 처벌함으로써 우리 사회의 정의 구현을 하게 합니다. 사회의 규칙과 국가의 법을 어기고 제3자의 목숨, 또는 인생을 해친 범죄자는 사형으로 처벌을 받아야 합니다. 이렇게 했을 때 우리 사회는 비로소 정의를 구현해, 법을 잘 따르는 사람들과 피해자들을 지킬 수 있습니다.

사형제도는 모든 인간에게 기본적으로 주어진 "생명권"을 해칩니다. 생명의 존엄성은 사람의 배경, 행위 등을 떠나서 무조건적으로 가치가 있고, 국가와 사회는 모든 사람들에 생명을 존중해야 하며 범죄자의 경우에도 그의 생명권을 지켜줘야 합니다.

정의 구현이라는 이름으로 범죄자의 생명을 등한시 여길 경우, 우리는 우리 사회가 지키고자 하는 생명의 존엄성과 개인의 생명권을 상황에 따라 타협해도 된다고 인정하게 됩니다.

또한, 반대 측은 모든 권리와 가치가 생명을 기반으로 하며, 생명을 존중받을 때야 비로소 정의 구현의 가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위의 주장들을 살펴보면, 각 팀이 어떤 가치를 중요하게 추구하는지 뚜렷하게 보이죠? 찬성 측은 정의 구현을 아주 중요한 사회적 원칙/가치로, 반대 측은 인간의 생명권을 중요한 사회적 원칙/가치로 여기고 있습니다.

이 두 가치는 사회가 실제로 중요하게 여기고 꼭 지키고자 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 토론에서 어떤 원칙을 더 중요시 여겨야 하는지를 잘 증명하는 팀이 이기게 될 텐데, 제가 위에 보여드린 반박은 두 가지를 시도하고 있습니다.

1) 반대 측이 중요하게 여기는 원칙/가치를 심사위원에게 어필하고,

2) 양 측의 원칙/가치 중에서 왜 반대 측에서 추구하는 가치를 더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지를 어필합니다.

이렇게, 모든 토론에서는 양 측이 중요한 가치를 쟁점의 구도로 가지고 나오기 때문에, 전반적인 토론을 통해서 본인 팀의 가치를 끝까지 잘 어필해서 가지고 나가는 사람이 심사위원을 더 잘 설득할 수 있겠죠?


3. Generalization

이 표현을 한국어로 직역하면 "일반화"라는 뜻입니다.

"일반화의 오류"라는 표현은 한국에서도 꽤 많이 쓰는 편이죠?

이 방법은 상대방의 주장이 실제 사례보다 훨씬 더 과장되었다, 또는 마치 일부의 사례를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일인 것처럼 표현하고 있다고 반박할 때 사용합니다.

상대측 주장

우리 측 반박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사형에 처하지 않으면 많은 범죄자들이 탈옥을 할 것입니다. 만일 많은 범죄자가 감옥에서 불법으로 나오면 사회는 다시 혼란스러워지고 위험해질 것입니다.

반대 측은 범죄자들을 탈옥을 해서 사회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일반화의 오류"입니다.

실제로 범죄자가 탈옥을 하는 것은 쉽지 않고, 그것으로 인해 사회가 위험에 빠질 확률은 극히 적습니다.

또 위에서 썼던 예시를 다시 가져오자면 ㅎㅎ

상대 팀이 "요즘 많은 학업 스트레스로 인해 많은 학생들이 자살하고 있습니다"라고 주장한다면 우리 측에서 "우리나라 아이들 중 학업 스트레스로 자살을 한 사례가 있기는 하지만, 그 소수의 사례들을 바탕으로 많은 학생들이 자살을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일반화의 오류입니다."라고 반박할 수 있겠죠?

이렇게 반박을 한다면, 꼭 상대 팀의 주장이 왜 일부의 사례를 일반화 시킨 것인지, 현실은 실제로 어떤지를 심사위원에게 보다 더 잘 설명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4. Insignificant

이 반박은 상대방이 설득하고자 하는 주장에 1) 이 토론에서 크게 중요하지 않거나, 2) 의제를 통과시킬 만큼 실제로 크게 신경 쓸 만큼 중요/심각한 일이 아닐 경우 사용하는 반박입니다. 위의 주장에 대한 반박으로도 바로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네요 :)

상대측 주장

우리 측 반박

극악무도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들을 사형에 처하지 않으면 많은 범죄자들이 탈옥을 할 것입니다. 만일 많은 범죄자가 감옥에서 불법으로 나오면 사회는 다시 혼란스러워지고 위험해질 것입니다.

반대 측은 범죄자들을 탈옥을 해서 사회를 위험에 빠뜨릴 것이라고 했는데 이것은 극히 드문 일입니다. 감옥의 보완은 철저하며 수감자들을 관리하는 사람들도 충분히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탈옥"의 가능성은 이 토론에서 크게 집중을 해야 할 만큼 중요하지 않습니다.

이 반박을 할 때 유의해야 할 점은, 실제로 "중요하지 않다"라고 반박하는 이슈가 심사위원이 생각하기에도 그런지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반박을 하는 입장에선 (또는 개인적으로)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해서 이렇게 반박했는데, 만일 심사위원이나 보편적으로 많은 사람들이 중요한 이슈라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오히려 우리 측이 중요한 이슈에 "무관심"하거나 "무책임"해 보일 수 있기 때문에, 꼭 상대방이 제기한 문제가 사회적으로 어떻게 받아들여져있는지를 생각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자, 오늘은 반박의 기술 12가지 중 4가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아직 갈 길이 조금 멀죠? 허허

주제를 하나로 고정해두고 반박 예시를 설명하는 게 효율적인지 의심이 가기는 하지만, 자꾸 주제를 바꾸는 것도 오히려 여러분들을 혼란스럽게 할 수도 있을 것 같아서 한 주제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래도 위의 함께 설명해드린 예시들이 각 반박의 콘셉트를 더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다음 포스팅에서는 5-8번까지의 반박 기술들을 살펴보겠습니다 :)

그럼 오늘도 행복하세요~! 뿅!

반응형